ChatGPT 의 도움으로 정리한 내용.
Git LFS 는 무료버전은 용량 제한이 있으므로, 블루프린트만 관리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함.
1. Git Hub 가입
https://github.com/
2. Git Hub 데스크탑 설치
https://desktop.github.com/download/
3. Unreal 프로젝트 content 폴더 아래에 _GIT 과 같이 git 관리를 할 폴더를 작성.
4. Git Hub 데스크탑 로그인 후 Local repository 로 새 repository 만들기.
Local 경로는 로 지정.
5. uasset 파일은 Git LFS(Git Large File Storage) 를 써야만 관리를 할 수 있음.
GitHub Desktop에서 상단메뉴의 Repository → Open in Command Prompt (터미널 열기) 클릭 후
커맨드 창에 git lfs install 를 입력후 실행. (Git bash 추가 설치 창이 뜨는데 설치하면 됨)
커맨드 창에 git lfs track "*.uasset" 를 입력후 실행. ->uasset 파일을 추적하게 함. (.gitattributes 파일이 변경됨)
GitHub Desktop에서 "Summary"에 커밋 메시지 입력후, "Commit to main" "Push origin" 클릭하여 GitHub에 업로드
6. 언리얼 엔진 content 폴더의 3번에서 작성한 _GIT 폴더 아래에 5번에서 작성한 Git repository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됨.
이 폴더 아래에 작성된 uasset 파일이 Git으로 추적 관리됨.
기존에 작성한 블루프린트를 언리얼에서 폴더로 이동 커맨드로 이동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Git LFS 사용 시 주의할 점
GitHub LFS는 기본적으로 1GB 저장 공간 + 월 1GB 다운로드 트래픽 제한이 있다.
용량이 부족하면 GitHub에서 유료 플랜을 구매해야 함.
다른 사람이 Git LFS를 사용한 저장소를 복제할 때는 일반 git clone이 아니라 LFS 지원 명령어를 사용해야 함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(추가정보)
블루프린트 파일(.uasset)은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서 복사 붙여넣기로 백업을 할 수 있다.
특정 언리얼 프로젝트에 넣기 위해서는 에디터에서 import 할 방법은 없고
윈도우에서 프로젝트 폴더에 복사 붙여 넣기하고 언리얼 엔진을 재부팅하면 인식한다.
'개발 > 언리얼 Unrea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E5 / Switch Has Authority (멀티 플레이) (0) | 2025.02.27 |
---|---|
UE5 / Replicates 항목 설명 (멀티플레이) (0) | 2025.02.26 |
UE5 / 액터를 X축 방향으로 매초 일정하게 이동하는 블루프린트 (1) | 2025.02.18 |
UE5 / Z방향 -1000 이하로 액터가 내려가지 않을 경우 해결책 (0) | 2025.02.18 |
UE5_튜토리얼_인덱스_SmartPoly (0) | 2025.02.17 |